동네: 동아미디어그룹 공식 블로그

東亞 100년, 東友 100인 <7> 양기탁

Posted by 신이 On 5월 - 31 - 2018

민족대변 東亞  100년, 자랑스런 東友  100인  (동우회보 제60호) 

 

     

         

 민중의 길잡이 창간 실무주역 3人-양기탁

 

 

 

1920년 4월 동아일보의 창간주역 들을 훑어보면 20대 청년들이 주동이 된 청년신문이란 것을 알 수 있지만 유근(柳瑾), 양기탁(梁起鐸) 등 노장층 두명이 편집감독이란 이름으로 끼어있다. 일종의 부조화(不調和)랄 까, 심한 세대적 격차가 느껴진다. 창간주역인 김성수가 29세이고 주간 장덕수가 26세, 편집국장 이상협이 27 세, 정경부장 진학문은 26세, 정경부의 핵심멤버인 염상섭은 고작 23세 였다. 이에 반해 편집감독 유근이 59 세의 노령이고 양기탁은 49세의 장년 으로 노장년 원로층이 앞줄의 청년들을 뒷받침하는 형국을 이루고 있다. (중략)

 유근 양기탁 등 두 편집감독은 창간호에 「아보(我報)의 본분과 책임」, 「지(知)아? 부(否)아?」란 기명기사로 얼굴을 보인 이후 직접 지면에 나타나지도 않고, 제작에도 참여하지 않았다. 주간 편집국장 이하 제작진 전원이 20대의 젊은이들인데 노령의 편집감독들이 끼어들 형편이 아니었다. (중략)

 같은 편집감독이었던 양기탁은 1904년 창간된 「대한매일신보」를 무대로 대한제국기 후반기의 저항언 론을 주도한 강골언론인이었다. 황성 신문의 「시일야방성대곡」을 신문에 즉각 전재하고 이를 영어로 번역하여 「코리아 데일리 뉴스」에 게재해 세계에 알렸다. 황성신문의 용기를 극찬 하고 장지연의 무죄를 주장하기도 했다. 대한매일은 영국인 배설이 주도 하는 신문이어서 치외법권적인 지위를 활용하기도 했다. 이밖에 양기탁은 1907년 미국서 돌아온 안창호(安昌 浩) 등과 더불어 신민회(新民會)란 비밀결사를 조직, 대한제국기 최후의 구국운동에 앞장섰다. 1909년 봄 그의 집에서 개최한 신민회 간부회의에서 나온 독립전쟁론은 만주의 독립군 기지 창설과 무관학교 설립 등을 포함한 만주지역 무장투쟁의 대방략이 었다. 이후 105인사건의 주모자로 연루되어 6년형을 선고받고 1915년 2월 에야 풀려났으나 다시 서간도에 망명 하였으며 또다시 일경에 체포돼, 2년간 거금도에 유배됐다가 1920년 풀려 나니 그가 동아일보에 참여한 것은 바로 이 무렵이었다.

 그러나 편집감독이란 신문의 직책 에는 별반 열의가 없었던 듯 싶다. 창간호 1면에 「知아? 否아?」 란 기명 논설이 한편 실렸을 뿐 이후 그의 신문활동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 이듬해 미국의원단의 내한때 그는 독립 청원서를 제출하여 다시 투옥되었으며 모친상으로 가출옥되자 다시 만주로 망명하였다. 이후 중국 관내(關內) 로 활동무대를 넓혀 한때 임시정부에 참여해 국무위원이 되기도 했으나 1935년 「年老多病」이라 칭하며 임시의정원 의원직마저 사퇴하고 은거 하다가 1938년 장쑤성(江蘇省)에서 별세했다. (후략)

 

                                                                                                                           – 글 이종석 (장지연기념회장) 

댓글 없음 »

No comments yet.

RSS feed for comments on this post. TrackBack URL

Leave a comment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