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동아미디어그룹 공식 블로그

동아일보 속의 선거 7: 총선 대선 이슈

Posted by 신이 On 6월 - 2 - 2012

[동아일보를 통해 본 선거]<上> 대한민국 역대 총선-대선 키워드는?



 
첫 총선땐 ‘자유’가 핵심… 이번엔 ‘세대갈등’ ‘복지’ 떠올라

■ 65년간 본보 지면에 등장한 ‘선거 키워드’ 분석해 봤더니
 
《 매일 만나는 신문, 동아일보는 세상을 비추는 거울이다. 총선을 앞두고 선거 기사가 부쩍 늘었다. “선거요? 옛날에는 평민당 텃밭이었는데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그렇지도 않아요.”(강모 씨·50·부동산중개업·서울 성동구 금호동) ‘선거에 관심이 있다기보다 투표는 의무니까’ ‘이번에는 아직 못 정함. 검토중.’(이상명 씨·25·경기 용인시·스마트폰 문자로 답함) ‘선거’ ‘복지’ ‘심판’ ‘SNS’란 말이 신문에 많이 나온다. 실제로 선거와 관련 있는 말은 어떤 것이고 옛날에는 어땠을까. 동아일보가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물결 21’ 사업팀(연구책임자 김흥규 국문과 교수)과 함께 동아일보 기사에 비친 선거의 변화상을 데이터 마이닝 기법으로 분석했다. 1948년 제헌국회 선거부터 올해 4·11총선까지 디지털화한 동아일보 기사가 대상이다. 》
 
○ 키워드로 보는 선거 이슈

분석한 결과 제헌국회 선거에서는 ‘자유’라는 단어가 가장 많이 쓰였다. 정부 ‘수립’(6위)을 위한 첫 자유 ‘총선거’(7위)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 첫 투표이기 때문에 유권자들이 투표소에서 본인임을 확인하는 ‘무인(拇印)’이란 말(19위)도 등장했다. 6·25전쟁 중 첫 직선으로 치러진 2대 대선(이승만 당선)에서는 ‘유엔’(1위) ‘휴전’(4위) ‘회담’(6위) ‘포로’(7위) 등이, 5·16군사정변 후 민정이양 형식으로 치러진 5대 대선(박정희 당선)에서는 ‘최고회의’(3위) ‘혁명정부’(7위)가 많이 사용됐다. 


박정희 후보와 김대중 후보가 격돌한 7대 대선(1971년)에서는 ‘관권선거’(2위) ‘부정선거’(13위) 등의 단어가 많이 나타나 치열한 유세전을 짐작하게 한다.


6월 민주항쟁 직후 13대 대선(노태우 당선)에서는 ‘지역감정’과 ‘단일화’가, 현대그룹 정주영 회장이 나선 14대 대선(김영삼 당선)에서는 ‘금권’ ‘관권’ ‘정치자금’ 등 돈과 관련된 단어가 많았다.


외환위기 때인 15대 대선(김대중 당선)에서는 ‘국제통화기금(IMF)’ ‘DJP연합’ ‘내각제’가, 16대 대선(노무현 당선)에서는 ‘병풍’ ‘후보단일화’ ‘행정수도’란 단어가 가장 많이 등장했다. 가장 최근의 17대 대선(이명박 당선)에서는 ‘BBK’ ‘선진화’ ‘대운하’ 등이 키워드였다.


선거 시기 ‘갈등’의 관련어를 보면 총선과 대선의 차이가 확인된다. 총선에서는 ‘공천’ 갈등이 가장 부각되고 ‘지역’ ‘세대’ ‘계파’ ‘당내’ 갈등도 나타난다. 반면 대선에서는 ‘당내’ 갈등이 도드라진다. 여야 간 본선 대결보다는 당내 경선 과정이 치열하기 때문이다. ‘종교’ ‘계층’ ‘노사’ ‘세대’ 갈등 등 전국적인 키워드가 나타나는 것도 대선 시기의 특징이다.


‘관권선거’ ‘금권선거’ ‘부정선거’ ‘불법선거’ ‘타락선거’ ‘혼탁선거’라는 키워드는 4대 대선(3·15부정선거)을 비롯해 7대(박정희 후보와 김대중 후보 격돌), 13대(6월 민주항쟁 직후), 14대(정주영 회장 출마)에 많이 등장했다. 총선 시기에는 5, 8, 13, 14대에 많았다. 대선과 총선이 겹치는 1960년, 1971년, 1987∼88년, 1992년에 논란이 많았던 셈이다. 총선과 대선이 겹친 올해에는 어떤 형태로 나타날까.



○ ‘개혁’ 줄고 ‘복지’ 떠올라


선거를 좌우하는 키워드로 ‘지역감정’이란 단어는 1971년 7대 대선에서 등장했다. 박정희 당시 대통령과 호남 출신 김대중 후보가 맞붙은 이 대선에서 공화당의 이효상 국회의장은 “대구 경북에서 몰표를 쏟아 부어 기어이 당선시키자. 경상도 대통령을 뽑지 않으면 우리 영남인은 개밥에 도토리 신세가 된다”며 노골적으로 지역감정을 부추겼다. 김 후보도 선거 막바지 대구 유세에서 “1200년 전 백제 신라시대로 돌아갈 것인가. 공화당의 망국적인 더러운 선거전에 좌우되지 말고 양심적으로 투표하자”고 호소했다(1971년 4월 26일자).


‘지역감정’은 13대 대선부터 다시 영향력을 발휘했다. ‘1노 3김’이 대결한 이 선거에서 당시 노태우 후보는 대구에서 69.7%, 김영삼 후보는 부산에서 56%, 김대중 후보는 광주에서 94.4%, 김종필 후보는 충남에서 45%를 득표했다. 14, 15, 16대 대선에서도 ‘지역감정’ 키워드는 힘을 발휘했으나 이명박 후보가 당선된 17대 대선 이후 비중이 크게 줄었다.


김일환 연구교수는 “지역감정이 선거 키워드로 등장하지 않는다고 유권자들의 지역 기반 투표 성향이 줄어들었다고 볼 수는 없다”며 “지역감정은 너무 고착화돼 더는 이슈가 되지 못하는 대신 ‘경제’ ‘세대 갈등’ ‘복지’ 등의 키워드가 선거의 주요 쟁점으로 떠올랐다”고 분석했다.


16대 총선에서는 ‘낙선운동’이 최대 화제였다. 그러나 18대와 올해 19대에서는 주목도가 크게 낮아졌다.


‘개혁’이란 단어는 16, 17대 총선에서 영향력 있는 키워드였으나 18, 19대에서는 점차 줄었다. 19대에서는 ‘복지’가 중요한 키워드로 등장했다. 4대 총선(1958년) 이후 54년 만이다. 무상급식이 이슈화한 데다 여야의 ‘선택적 복지’와 ‘전면적 복지’ 공약이 논쟁의 중심이 됐기 때문이다.


시민단체의 정치 참여가 활발해진 16대 총선(2000년)과 노무현 후보가 당선된 16대 대선(2002년)에서는 ‘인터넷’이 중요한 키워드로 등장했다. 스마트폰 시대가 본격화한 19대 총선에서는 ‘트위터’ ‘페이스북’ ‘SNS’가 각광받고 있다.


전승훈 기자 raphy@donga.com blog_icon 



댓글 없음 »

No comments yet.

RSS feed for comments on this post. TrackBack URL

Leave a comment

LOGI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