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 동이 틀 때’의 작가 이무영(李無影, 1908~1960)
1935년 5월 학예부 기자, 1939년 7월 퇴사
이무영, ‘지금도 내 집 같아’ (1960년 4월 1일자 6면)
“동아와 인연을 맺었던 것이 어언 4반세기전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지금과 달라서 신문사 취직이란 그야말로 하늘의 별 따기보다도 힘들던 시대였던지라 일본에서 나오면서부터 고하 선생과 춘원, 당시 학예부장이던 성해 선생(이익상) 등 몸이 달아 찾아다니다가 체념을 하고 있을 때 이은상 씨의 뒤를 이어 잡지부장이 되신 현 인하공대의 극웅 최승만 씨가 어떻게 보았던지 주선을 해서 입사를 했었다. 수주 변영로 씨·중앙고녀의 황신덕 여사·납치된 일송 최영수·최형종·전남대학 총장으로 가신 고형곤·여성기자로 김원경 이렇게 한방에서 일을 하다가 예의 일장기사건으로 잡지가 폐간되어 학예부로 내려왔었다. 부장에 서항석 씨·김창수 씨 후에 정래동 씨·박승호 여사 이렇게 넷이서 학예·가정·오락의 3면, 30여단을 매일 마련하던 생각을 하면 지금의 문화부보다는 인원으로나 지면으로나 훨씬 고역이었다. 매일 출근을 하면 아침 인사가 이마를 때리는 일이었다. 머리기사가 준비되었느냐는 인사다. 매일 같은 이야기어서 특히 가정란 책임을 맡은 박 여사는 하루에도 몇 번씩 이마를 치고만 있었다. 폐간 전에 나는 소설에 전념코자 사를 나와서 농촌으로 들어갈 때는 고민을 했었지만 지금도 그만한 용기를 낸 것이 그래도 잘했다는 생각이다. ‘세기의 딸’이 2백 몇 회로 동아일보와 운명을 같이 했던 것도 기억에 남는 일의 하나다. 폐간호에 ‘간매(干魅)’라는 수필을 썼던 것이다. 지금도 가끔 옛 생각이 나서 사를 찾는데 그땟 분으로는 고재욱 씨와 장용서 씨 뿐 옛 친구들의 얼굴이 정말 그리워진다.”
동아일보 (1960년 4월 1일자 6면)
이무영은 ‘이 산(李山)’이란 필명으로 1932년 1월 동아일보 신촌문예 희곡부분에 ‘한낮에 꿈 꾸는 사람들’로 당선됐습니다.
1932년 1월 1일자 2면 신춘현상문예 당선 발표
1932년 1월 2일자 부록 3면, 꿈꾸는 사람들(3회 연재)
1933년 8월 5일자 석간 3면,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 이무영 작, 이상범 화(畵)
1935년 8월 6일자 석간 5면, 먼동이 틀 때, 이무영 작, 이청구 화(畵)
1939년 10월 10일자 석간 4면, 희곡, 세기의 딸-큐리 부인의 일생(이무영 작 김주경 화)
1940년 8월 11일자 석간 4면
이무영은 동아일보에 입사하기에 앞서서도 동아일보를 통해 작품들을 발표했습니다.
1929년 5월 17일자 4면, 어머니!
1929년 6월 2일자 3면, 단편소설 착각애(錯覺愛) 제1회(전 7회)
1929년 6월 19일자 4면, 가난뱅이엄마
1931년 11월 6일자 5면, 자살만담(自殺漫談) 제1회(전 8회)
“우리나라 농촌문학의 선구자이자 제1인자인 이무영은 충청북도 음성 출생으로 본명은 용구이다. 그는 1935년 5월부터 39년 7월까지 동아일보 학예부 기자로 활약했으나 기자로서보다는 소설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무영은 20년 휘문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도중에 중퇴하고 25년 일본으로 가기 위해 부산에 내려갔다. 부산에서 잡부 일을 하며 여비를 마련한 그는 그해 일본으로 건너갔다. 일본 땅에 도착한 그는 근 1년간을 막노동을 하며 지냈다. “빵 껍질 1전어치를 사서 하루 종일 먹으며 굶기를 밥 먹듯이 하는” 어려운 생활이었다. 그러다가 일본 작가 가토다케오(加藤武雄)에게 편지를 보내 그의 문하생이 되어 4년 동안 작가수업을 받게 된다. 이무영은 가토의 집에 기숙하면서 일본 · 프랑스 · 러시아 문학을 섭렵했는데, 도스토예프스키의 <죄와 벌>을 다섯 번이나 읽을 정도로 소설수업에 열심이었다. 이러한 소설수업의 보람이 있어 이무영은 19살 때인 26년 첫 장편소설 <의지 없는 영혼>을 발표함으로써 소설가로서 조숙한 출발을 하게 된다. 그의 첫 장편 <의지 없는 영혼>은 당시 일본에 와 있던 노자영(盧子泳)이 주재하던 청조사(靑鳥社)에서 간행했다. 작가 데뷔 이듬해인 27년에는 장편 ‘폐허’를 발표했으나, 그때까지도 그의 이름이 알려진 것은 아니었다. 이무영은 가토의 문하생으로 있으면서 세이조(成城)중학교에 다녔으나 역시 도중에 중퇴했다. 이무영은 29년에 귀국했다. 귀국 후에는 소학교 교원, 출판사, 잡지사 기자로 일하면서 31년 ‘반역자’, ‘취향’ 등의 작품을 발표했다. 그는 극예술연구회에도 관계했는데 32년 희곡 ‘한낮에 꿈꾸는 사람들’이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되어 이를 극예술연구회에서 공연했다. 이것이 인연이 되어 이무영은 33년 6월부터 33회에 걸쳐 동아일보에 중편 ‘지축을 돌리는 사람들’을 연재했다. 그리고 같은 해 8월에는 이효석(李孝石), 정지용(鄭芝溶), 이태준(李泰俊), 유치진(柳致眞), 김기림(金起林) 등과 함께 문인단체 <구인회(九人會)>를 조직, 그 동인으로 활약했다. 뒤이어 단편 ‘농부’(1934년), ‘꾸부러진 평행선’(1935년) 등을 발표한 이무영은 35년 5월 동아일보에 입사, 기자 생활을 시작하게 된다. 그러나 기자로서의 이무영에 관한 기록은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동아일보가 64년 4월 10일부터 4월 22일까지 8회에 걸쳐 연재한 ‘한국신문 100인의 얼굴’에 기록된 이무영의 경력은 ‘동아기자, 소설가’가 전부이다. 이무영에 관한 몇 안 되는 다른 기록들을 찾아보아도 소설가로서의 그의 일생이 소개되어 있을 뿐이다. 이로 미루어 이무영은 일제시대 때부터 8.15직후까지 활약한 문인 겸 언론인 대부분이 그러하듯 신문사 입사 후에도 취재기자로서 보다는 연재소설을 중심으로 한 작품 활동에 주력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가 동아일보에 재직한 기간 동안 줄곧 학예부 기자로만 일했다는 사실도 이 같은 추측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이무영이 동아일보에 입사한 후 처음으로 발표한 작품은 장편 ‘먼동이 틀 때’로 동아일보 지상에 35년 8월부터 132회에 걸쳐 연재됐다. 이무영은 동아일보에 입사하던 해에 동아일보에서 같이 일하던 신영균(申永均, 서울, 1904~1960, 1932. 9 광고부 사원, 1938. 8 퇴사)의 중매로 그의 처제인 고일신(高日新)과 결혼했다. 그의 나이 27살 때였다. 고일신은 당시 22살로 황해도 출신이었다. 결혼 이듬해인 36년 일장기말소사건으로 동아일보가 정간되자 이무영은 친구 이흡(李洽)과 함께 ‘조선문학’을 창간했으나 실패하고 말았다. 결국 이무영은 39년 7월 동아일보를 그만 두고 이흡을 따라 경기도 군포역에서 10리쯤 떨어진 궁촌(宮村)으로 이사했다. 신문사 퇴사와 궁촌으로의 이사는 이무영 문학의 한 획을 긋는 일대 전환점이라 할 수 있다. 이무영의 초기 작품들에는 무정부주의적인 저항의식이 깔려 있는데, 이는 그가 한동안 우리 문단을 휩쓴 카프에 직접 가담하지는 않았지만 어느 정도 그에 동조했거나 다소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로 볼 수 있다. 그러나 34년 이후 이무영은 ‘농부’ ‘만보노인’ ‘흙을 그리는 마음’ 등을 발표하며 농촌소설 작가로 서서히 변신하게 된다. 그러나 오래 전부터 흙을 동경하며 농촌소설을 개척해보려던 그의 의지가 실천에 옮겨진 직접적인 계기는 역시 39년 궁촌으로의 이사였다고 할 수 있다. 그는 궁촌에서 농사일과 작품 활동을 병행하며 본격적인 농촌소설 창작에 전념했다. ‘궁촌기’ ‘제1과 제1장’(1939년) ‘흙의 노예’(1940년) 등 농촌을 배경으로 한 소설들은 모두 여기서 만들어진 작품으로 그의 대표작인 동시에 우리나라 농촌 소설의 명작들이다. 그는 이들 작품에서 농사의 신성함과 농민의 성실한 삶을 예찬하고 있으며, 동시에 당시 농촌의 가난을 거짓 없이 묘사하면서 농촌 피폐의 원인을 캐 보려하고 있다. 그러나 그 어조는 온건한 편인데, 이는 당시 일제 당국의 검열을 의식했기 때문인 듯하다. 한편 ‘제1과 제1장’과 그 속편 ‘흙의 노예’는 궁촌이 아니라 그가 소년시절을 보낸 충북 중원군 용원리를 배경으로 하고 있는데, 내용은 장성한 자기 자신과 아버지 이야기로 시종하고 있다. 두 작품의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아들의 이름도 똑같이 수택인데, 수택은 바로 이무영 자신을 투영한 인물이다. 그의 농촌소설은 광복 후 발표한 ‘농민’(1950년) ‘농군’(1953년) ‘노농’(1954년) 등에서 절정을 이룬다. 이들 장편 농촌소설에서 그는 농민들의 역사적 수난과 항거를 서사적으로 그렸으나 그 뒤 다시 서정문학으로 방향을 바꾸었다. ‘숙향의 경우’(1955년) ‘계절의 풍속도’(1958년) 등의 작품에서 그는 주로 애정문제를 다루었는데, 보수적인 도덕관을 고수하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광복 후 이무영은 해군 정훈감(1951년), 숙명여자대학교와 단국대학교 교수로도 일했으며 문총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일제 때인 43년 조선예술상을, 광복 후인 56년에는 서울시 문화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이무영은 천재적이라기보다는 노력형의 작가였으며, 항상 진실을 중시하고 건실한 문학을 위해 일관된 노력을 기울였던 성실하고 중후한 작가였다는 평을 듣고 있다. 특히 농촌 소설에 바친 그의 열정과 그 성과는 단연 독보적이라 할 것이다.” (김진찬 전 서울신문 주간국장, 한국언론인물사화 8.15전 편-하, 한국언론인회, 1992년, 430~434쪽)
1960년 6월 26일자 4면 이무영님 묘소에서 묘비제막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