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네: 동아미디어그룹 공식 블로그

1. 창간 편집감독 유근 (柳瑾)

Posted by 신이 On 4월 - 29 - 2016

동아 인물 100년사
「동아일보」는 2020년 창간 100년을 맞습니다. 역대 CEO 등 「동아일보」 주요 인물들을 선정해 소개합니다. 첫 번째 인물은 창간 당시 편집감독인 유근입니다.

 

창간 편집감독 유근 (柳瑾) (1861-1921)
 1920년 창간 당시 석농 유근이 편집감독으로 추대된 것은 그가 국내에 있던 민족주의 언론인이었기 때문이다. 동아일보는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를 각각 대표할만한 유근과 양기탁을 편집감독으로 둬 애국계몽기 민간신문의 민족주의 정신을 계승한다는 각오를 뚜렷하게 했다.

 

 유근은 동아일보 창립을 주창한 사람이기도 했다. 3․ 1 운동 후 일본 제국주의가 이른바 문화정치를 표방함에 따라 그동안 금기시됐던 민간신문의 창간운동이 일어났다. 이 같은 전환기를 맞아 민족진영의 청년들이 찾은 사람이 구한말 언론인 유근이었다.

 

 1896년 창간된 서재필의 「독립신문」이 계몽운동에 큰 힘이 되는 것을 보고 유근은 1898년 남궁억, 장지연과 함께 「황성신문」을 창간해 독립정신을 고취하며 민족계몽에 앞장섰다. 특히 장지연(1864~1921)이 1905년 11월 20일자에 을사조약을 규탄하는 ‘시일야방성대곡(是日也放聲大哭)’을 쓸 때, 너무 격분한 나머지 끝을 맺지 못하자 유근이 그 후반부를 끝냈다고 전해진다(「동아일보」 창간 당시 조사부원 고희동, 외신부장 김동성 증언․ 「동아일보」 1960년 4월 1일자). 이 사설이 문제가 되어 신문이 무기정간 당하자 유근은 언론계를 떠났다가 다시 1907년 9월 제5대 사장에 추대돼 한일강제병합 직전인 1910년 6월까지 약 3년간 재임했다.

 

 사장 재임 중 1909년 3월 7일자에 진주관찰사 황철의 탐학을 폭로하는 ‘황철식철(黃銕食銕)’이란 사설을 게재했다가 피소했고 한일강제병합 직전에 일본이 제공하는 거금을 받지 않고 물리쳐 일본 당국도 그의 인품에 감탄하였다고 한다(안재홍. 조선신문소사. *신문평론* 제6호,1949년 7월호. 5쪽; 정진석.*역사와 언론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72쪽). 이같이 「황성신문」을 중심으로 한 그의 언론활동 12년은 다른 어느 언론선각자들과 비교하더라도 가장 오랜 기간이며 쉼 없고 굽힘 없는 저항의 세월이었다고 할 수 있다(이종석.「석농 유근 선생」원고. 2013. 4쪽).

 

 29세의 일본유학생 출신 민세 안재홍(1891~1965)도 유근을 찾은 사람 중의 한 사람이었다. 안재홍이 3․ 1 독립운동 직후 상해의 임시정부를 지원하기 위해 결성된 최초의 국내단체인 청년외교단 사건으로 재판을 받을 때 나온 내용이다.

 

 “작년 삼월 소요 이후로 조선 춍독이 신정을 할새 언론자유를 허가한다 하기에 신문을 조직할 목뎍으로 경성에 올나가서…경성부 화동 일백삼십팔 번디 류근(柳瑾) 씨의 집에 가서…류씨는 신문에 경험이 만흔 사람인고로 신문상 이약이를 하랴고 갓더니…”(「동아일보」 1920년 6월 9일자)

 

 유근의 집이라고 한 ‘화동 138번지’는 중앙학교의 주소다. 유근이 인촌 김성수(1891~1955)와 안재홍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김성수가 1915년 4월 경영난에 빠진 중앙학교를 인수하면서다. 1908년 창립된 기호흥학회에 유근은 평의원으로 참여했는데, 이 학회가 1910년 12월 여러 학회를 통합해 중앙학회가 됐고 이 학회가 설립한 기호학교의 이름도 중앙학교로 바뀌었다. 김성수는 중앙학회의 임원이었던 유근을 교장으로 추대하고 학감에 와세다대 출신의 안재홍이 취임토록 했다. 1916년 입학한 유홍(1899~1988)의 기억에 따르면 입학 후 유근은 김성수 숙소에서 신입생 환영다과회를 열어 민족의식을 불어넣었고 가을 강화도 마니산 수학여행에서 참성단에 눈물을 흘리며 복배함으로써 나라 없는 슬픔을 일깨웠다.

 

 ‘화동 138번지’는 제 2대 교장 박승봉이 사재로 사들였던 한옥이었는데, 김성수가 따로 사재를 들여 중앙학교의 부지를 마련해 교사를 신축했다. 안재홍이 ‘화동 138번지’로 찾아간 것으로 미루어 유근이 일종의 비밀결사인 조선산직장려계가 발각돼 교장 직에서 물러난 뒤에도 옛 교사에서 머무르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일본경찰에 의해 중앙학교의 학감 직에서 강제로 사직당한 안재홍이 신문발간을 위해 유근을 찾아간 것이다.

 

 유근을 찾았던 안재홍은 청년외교단 사건으로 투옥됐지만 「매일신보」 발행인 겸 편집인 출신으로 언론계에서 유명했던 이상협과 「평양일일신문」 기자를 지낸 장덕준, 「오사카아사히(大阪朝日)」 기자로 근무했던 진학문이 유근과 함께 신문발간에 나서게 됐다. 이들은 신문발간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김성수에게 교섭을 벌였으나 김성수는 중앙학교와 경성방직의 일로 고사했다.

 

 잡지 「신인문학」은 15년 후, 김성수의 측근이었던 중앙학교 교장 최두선(1894~1974)은 40년 후 김성수를 움직인 사람들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대정 8년(1919년)이 되자 모(某) 운동의 뒤를 이어 유근, 이상협, 장덕준 등 여러 사람이 각인 각파로 찾아와서 신문사를 하나 경영해 보자고 조르시더라고…그러나 신흥 기분을 가지고 신문 경영에 열의를 가진 여러분들은 2차, 3차 몇 달을 두고 조르시더라고 한다…어느 날은 씨가 전동(典洞)여관으로 장덕준 씨를 찾아가니까 장 씨 말이 ‘오늘 저녁에 여러분이 귀 댁에 모여서 신문경영을 하기로 했다지오’하더라고. 그러나 씨는 그런 내용을 전연 모르는 터이라 금시초문이라고 하였더니 장 씨는 웃으며 괴이히 여기더라고. 그러나 그 날 저녁에는 뜻하지 않은 여러분들이 말하자면 유근, 장두헌, 장덕준, 이상협, 장도빈 씨 등이 와서 신문사를 하기로 했으니 책임을 지라고 권하더라고 한다.” (A기자. ‘김성수 씨의 반생(半生)과 분투생활기’. *新人文學*. 1935년 8월호, 20~24쪽)

 

 “그 때 어떤 이가 권했느냐하면 신문계의 대선배라고 할 유근 선생-이분은 황성신문사장으로 한말년(韓末年)에 명성을 날리신 선생인데 황성신문은 아시는 바와 같이 ‘시일야방성대곡’이라는 사설을 쓰고 폐간한…그때 분해서…국민이 분통해서 방성대곡한다는 사설을 쓰고 폐간한 「황성신문」의 사장으로 계셨던 것입니다. 그 분하고 또 당시엔 젊었지만 신문계에서 이름 있는, 다시 말하면 편집경험이 있는 이상협 씨가 있습니다. 이 두 분-지금은 모두 고인입니다마는, 이 씨는 편집이나 기술면에 경험이 있는 분입니다. 이분들이 권유하고 내가 다소 중간에서 심부름한 셈이지요.” (「동아일보」 1960년 4월 1일자. 창간 40주년 기념 좌담)

 

 이들 설명에서 유근의 이름이 가장 먼저 나오는 것은 유근과 김성수와의 관계를 말해준다. 어느 누구보다 유근의 권유와 설득이 주효했고 그만큼 김성수의 유근에 대한 존경과 신뢰가 컸기 때문이었다 (이종석.「석농 유근 선생」원고. 2013. 10쪽).

 

 신문의 제호를 「동아일보」라고 지은 것도 유근이었다(「동아일보」1921년 5월 22일자). ‘조선’이니 뭐니 할 것 없이 범위를 큼직하게 전 아세아를 통해서 한다는 의미였다 (「동아일보」 창간 당시 조사부원 고희동 증언․ 「동아일보」 1960년 4월 1일자). ‘우리 민족이 장래 살아가자면 동아 전체를 무대로 하여야 될 터’이기 때문이었다(「동아일보」 창간 당시 기자  유광열 증언․  *기자반세기*. 서문당.1969.227~231쪽).

 

 유근은 창간호 1면에 ‘아보(我報)의 본분과 책임’이라는 논설을 써서 ‘민족의 표현기관’ ‘민주주의 지지’ ‘문화주의 제창’이란 「동아일보」의 3대 주지(主旨)를 지켜갈 것임을 다짐하고 있다. 유근은 창간 사흘째 지면에 또다시 ‘아보(我報)를 동정하시는 동포에게’란 논설에서 동아일보에 대해 ‘조선민중의 기관됨’을 대외에 천명하고, 동아일보 사람들에 대해서는 ‘공복(公僕)’이라고 일컬음으로써 “동아일보가 나라 없는 겨레의 기관”으로 자리매김할 것을 약속하고 있다.

 

 

 유근이 편집감독에 취임한 것은 60세 때였다. 김성수가 30세, 주간인 설산 장덕수가 26세, 편집국장 하몽 이상협이 28세, 평기자인 유광렬이 21세였고, 함께 편집감독으로 추대된 양기탁보다도 열 살이 많았으니 신문사의 명실상부한 어른이었다.

 

 ‘여러 청년들의 앙모(仰慕)의 정으로 편집감독으로’ 추대됐지만 ‘청년 중에 지기(知己)가 많아 일종의 노청년(老靑年)’이라 불릴 만큼 청년들과 어울렸다(「매일신보」 1921년 5월 28일자). 창간 다음 달인 5월 8일자에 한글학자 권덕규가 쓴 ‘가명인두상(假明人頭上)의 일봉(一棒)’이라는 글이 전국 유림의 분노를 사서 박영효 사장이 사죄의 글을 실으라고 했을 때의 유근에 대한 유광렬의 회고가 인상적이다.

 

  “그때 28세로 논설기자이던 장덕준은 원래 폣병이 깊은데다가 흥분하여 간부회를 하는 자리에서 책상을 치면서 분개하여 피를 토한 일이 있었다. 선생은 유교인이면서도 그때 청년사원들의 말에 동감하고 얼굴이 상기가 되면서 박영효의 지나친 요구를 논박하였었다.”(*기자반세기*. 서문당.1969.227~231쪽)

 

 역시 평기자였던 이서구는 ‘화동 138번지’ 사옥 책상에서 잠자고 났을 때의 유근의 모습을 애정을 가지고 기억했다.

 

 “시골서 갓 올라와 갈 데도 없어 그 스포츠 잘하던 김동철과 일본말 잘하는 김정진, 이렇게 셋이 책상에서 잠들을 잤는데 아침이면 편집고문인 유근 선생이 와서는 단장으로 책상을 땅땅 치면서 ‘이놈들 일어나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시곤 했어요. 그러고는 ‘이놈들 배고프지, 가자!’하시면서 오전짜리 술국밥 집으로 데려가곤 했지.”(「동아일보」 1970년 4월 1일자, 1972년 12월 15일자)

 

 더구나 양기탁은 필화사건의 와중에 두 달 만에 박영효 사장과 함께 물러나 초창기 신문제작과 관련한 감독은 유근이 전적으로 맡을 수밖에 없었다. 유근은 그해 9월 25일 「동아일보」가 무기정간을 당해 신문이 나오지 않는 때에도 매일 나와 장기나 바둑을 두면서 신문사를 지켰다. 유광렬은 유근의 바둑실력이 2,3급 정도였고 논설기자 김명식과 매일 바둑을 두었다고 기억했다(*기자반세기*. 231쪽). 이서구는 유근이 사원 한정하와 내기 장기를 두었던 일을 회고했다 (내가 있던 시절, *동우(東友)*. 1963년 8월호, 12쪽).

 

 “그때 편집국에는 「새드름」이라는 국보(局報)가 있었다. 언제 창간되어 어느 틈에 폐간됐는지 기억에 남지는 않으나 어쨌든 신문지 반장짜리 백지에다가 호수(號數)와 제호(題號)와 일자(日字)만 써서 테불 위에 놔두면 편집동인들이 생각나는 대로 써서 넣는다. 그것도 석양 때가 되면 지면이 꽉찬다. 어느 때는 편집고문으로 계신 유근 선생께서 젊은 사원 한정하 군과 군밤내기 장기를 두셨는데 지시고도 군밤을 사시지 않았다하여 새드름 사설란에 시비를 받으신 일이 생각난다.

 

“이놈들아 군밤 사주면 될 거 아냐 사설로 때리다니…엥이”

 

호령을 하시던 유근 선생의 얼굴이 어쩌면 그렇게 어지시고 따르고 싶었던지 지금 생각해도 나는 너무나 너무나 훌륭하시고 어지신 어른들 그늘에서 행복하게 자랐는가 싶다.”

 

 「동아일보」는 1921년 1월 10일 정간이 해제돼 2월 2일자로 속간호가 나왔으나 유근은 숙환으로 5월 20일(음력 4월 13일), 환갑을 바로 눈앞에 두고 서거했다. 「동아일보」는 이튿날인 5월 21일자로 부음을 알리고 22일자 1면에 ‘조석농유근선생 (吊石儂柳瑾先生)’이란 장문의 조사를 실었다. 같은 날 ‘오호석농선생(嗚呼石儂先生)’이란 조사에서는 유근의 「동아일보」 편집감독 취임과 관련해 “세상에서 그 책임의 적당을 일컬으며 선생도 또한 합당한 사업을 얻음을 만족히 여기”었다고 평했다. 이어 이 조사는 “선생은 천성이 충후(忠厚)하였으니 실로 우리 신문사의 주석(柱石)일 뿐 아니라 우리 반도 언론계의 원로이며, 평생을 사회에 바쳤으니 다만 교육계의 공로자일 뿐 아니라 우리 사회의 장로이었다”고 추모했다.

 

 유근의 유언은 ‘지방열을 제거하라’는 것이었다. 그는 “지방열을 없이하라. 이것은 조선인의 고질(痼疾)이니 사회를 위하여 활동하는 자, 민족을 위하여 일하는 자는 마땅히 이에 조심하여 그 근절(根絶)을 기(期)하라”고 당부했다(「동아일보」 1921년 5월 23일자). 유근은 마지막까지 사회의 어른으로서, 민족의 사표로서 소명을 다했다.

 

 다음은 창간호 1면에 실린 유근 편집감독의 ‘아보(我報)의 본분과 책임’이란 논설을 현대어로 바꾼 것이다.

 

 

 구주(歐洲) 전장(戰場)에 풍진(風塵)이 일청(一晴)하고(동아일보 주·1919년 1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연맹회의에 평화가 성립됨에(1920년 국제연맹의 탄생) 인도주의가 천리(天理)를 순종하여 무력주의가 문화주의로 변천하며 제국주의가 사회주의로 변천하며 자본주의가 노동주의로 변천하여 민권의 자유가 단(單)히 개인적 자유에 그치지 아니하고 세계적 자유에 달(達)함으로 민론의 자유도 또한 개인적 자유에 그치지 아니하고 세계적 자유에 달(達)하는도다. 어시호(於是乎) 반도 조선에 언론계 패왕으로 동아일보가 출(出)하도다.

 동아일보야, 반만년 역사를 등에 지고 2천만 민중을 몸에 안고 추운(秋雲·가을 하늘의 구름)을 박차고 고해(苦海)를 뛰어 건너 흑동동천지(黑冬冬天地·칠흑같이 캄캄한 겨울 밤 같은 세상)에 촛불 잡고 목탁 치며 20세기 신(新)무대에 우뚝 선 너, 동아일보야.

 동아일보야, 너의 문호(門戶·출신성분)를 네 아느냐. 신인하강 구기지(神人下降 舊基址·신이 내린 옛 터)에 청석(靑石)으로 주초(柱礎·기초)하고 박달수로 동량(棟梁·마룻대와 들보)하고 무궁화로 번리(藩籬·울타리)하여 내정을 정리하고 외모(外侮·외국으로부터 받는 모욕)를 방어함은 너의 짐. 

 동아일보야, 너의 신분을 네 아느냐. 동반구(東半球) 한가운데 높이 솟은 백두산, 그 꼭대기 용왕담(龍王潭), 혹한에 줄지 않고 요수(?水·홍수)에 불지 않고 영영히(盈盈·물이 가득 찬 모양) 고 인 물 너의 뇌(腦). 

 용왕담 큰 샘 줄기 3대강(압록, 두만, 송화)되어 나서 천파만맥 합류하여 활발히 파도치며 태평양 한바다로 주야 없이 돌아듦은 너의 피. 한산도 밝은 달, 고금이 다를쏘냐. 다시금 둥글어져서 광휘(光輝·아름답게 빛나는 빛)를 날리며 충혼이 멎은듯이 완전히(宛轉·순탄하고 원활하여 구차하지 아니함) 돋아 남은 너의 넋.

 살수(薩水·청천강) 상(上) 매운 바람, 백만 군사는 형세 노도(怒濤·성난 파도)가 흉용(洶湧·세차게 일어남)하고 벽력(霹靂·큰 소리)이 진동하여 강적(强敵)의 장궁리갑(長弓利甲·긴 활과 좋은 갑옷) 낙엽을 지어 날린 너의 소리.

 백마산성 푸른 솔 적갑(赤甲·붉은 껍질)을 굳게 입고 창염(蒼髥·흰 수염)을 거사리여 상설(霜雪·서리와 눈)을 무릎 쓰고 환환히(丸丸·둥글게 둥글게) 용천(聳天·하늘로 솟아 오름)함은 너의 기개. 

 독립문 굳은 석주 양각(兩脚·두 다리)을 높이 들어 비행기 밀뜨리고 화륜차 차 바리고 당전한(當前·눈 앞) 천리만리 일순간에 가랴함은 너의 걸음.

 동아일보야, 네 행여나 신경 쇠약 될라, 네 행여나 액체(液滯·흐름이 막힘)될라, 네 행여나 정신 놀라, 네 행여나 목 쉬일라, 네 행여나 좌절 될라, 네 행여나 발병 날라.

 동아일보야, 너의 부담 무겁도다. 너는 조선민중의 표현기관이다. 그의 사상, 그의 희망, 그의 목표, 그의 심리 일일이 보도하여 그로 하여금 능히 기립케 하며 그로 하여금 능히 발전케 하며 그로 하여금 능히 비약케 함은 믿노니 너를.

 너는 조선민중의 권리보호자이다. 그의 정신, 그의 정의, 그의 활동, 일일이 지배하여 그로 하여금 능히 압제를 탈면(脫免)케 하며 그로 하여금 능히 권능을 시사(施使사)케 하며 그로 하여금 능히 언론을 표양(表揚)케 하여 인(人)의 고유한 자유를 유지함은 믿노니 너를.

 너는 조선민중의 문화소개자이다. 그의 교육, 그의 경제, 그의 정치, 일일이 지도하여 그로 하여금 능히 개명케 하며 그로 하여금 능히 부유케 하며 그로 하여금 공평 정직케 하여 세계문명에 병가구치(?駕驅馳·수레를 나란히 힘을 다해 달림)함은 믿노니 너를.

 그러면 너는 조선 민중의 기관수며 우편배달부며 전화교환수며 대의사(代議士)며 정치가며 법률가며 경제가며 사회당이며 노동주의자이다. 무겁다 너의 책임, 자유권 잃지 말고 만란(萬難)을 배각(排却)하고 용왕직전(勇往直前·힘차게 나아가) 거침없이 신지(信地·목적지)에 도달하여라. 아-동아일보야.

 

 

댓글 없음 »

No comments yet.

RSS feed for comments on this post. TrackBack URL

Leave a comment

LOGIN